정보통신기술27 클라우드(Cloud)와 온프레미스(On-Premise) 비교 개요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서 배우게 되면 여지없이 등장하는 것이 바로 온프레미스(On-Premise)입니다. 사실 비즈니스 시스템을 개발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내 시스템을 클라우드와 할 것인지, 온-프레미스로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어떤 것이 더 적합하다고 표현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정보통신기술이라는 것도 유행이라는 것이 있어 다들 유행 기술을 따르려고 하지만 모든 기술이라는 것은 다 장단점이 있고 최초 기술을 개발할 당시 많은 엔지니어들의 고민으로 탄생한 것이니까요. 여기서는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에 대해 비교를 하겠습니다. 온프레미스란 과거 메일프레임 시대부터 웹 시대까지 보편적으로 사용하던 방식입니다. 모든 컴퓨터 자원을 사용하는 조직 내에서 획득하여 필요한 컴퓨팅 환경.. 2023. 4. 27.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와 특성 개요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아는 사람들에게도 무엇인지 정의를 해보라고 하면 생각보다 잘 설명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많이 들어봤고 실제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정의하는 건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이런 사례는 의외로 많습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4G, LTE, LTE-A라는 단어를 사용하면서도 그게 무엇인지 아는 것 같은데 설명은 잘 못합니다. 그래서 세부적인 디테일을 이야기할 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는 게 필요합니다. 여기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와 그 특성들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 클라우드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미국의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National Institut.. 2023. 4. 27. 클라우드(Cloud)의 역사 개요 우리는 부지부식 간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합니다. 보통의 사람들은 클라우드라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할 필요가 없기도 합니다. 그러나 우리 일상에서 클라우드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인프라가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구글 메일, 즉 지메일(Gmail)이 있습니다. 우리는 지메일을 사용하면서 메일 서버가 어디에 있는지, 아니면 나의 이메일 자료들이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 크게 관심이 없습니다. 그러면서도 자신의 지메일을 컴퓨터에서도 사용하고, 스마트폰에서도 사용합니다. 때로는 도서관 컴퓨터에서도 확인하기도 합니다. 클라우드는 일상의 어느 곳에서 어떤 장치에서도 내가 원하는 서비스를 활용하게 하는 편리성을 제공합니다. 여기서는 클라우드가 등장하게 된 시대적 흐름에.. 2023. 4. 26. 인공지능에 대한 용어와 딥러닝 3가지 기법 개요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가장 큰 이슈 중 하나가 바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이 아닌가 싶습니다. 너도 나도 인공지능에 대해서는 전문가와 가까운 지식을 갖는 것 같고 다양한 신문기사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특히, 2016년 구글의 인공지능개발 자회사인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가 개발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인 알파고와 이세돌 바둑기사 간의 대국은 세계의 주목을 끌었습니다. 그러다가 최근에는 다소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도가 조금 낮아진다는 느낌이 있었는데 챗봇(ChatBot) 중 하나인 챗GPT(ChatGPT)가 다시 한번 세상의 관심사에 불을 붙였습니다. 여기서는 우리가 말하고 있는 인공지능에 대한 용어와 최근 인공지능 개발의 주류를 이끌고 있는 딥러닝에.. 2023. 4. 25.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