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기술27

컴퓨터 데이터 용량에 대해 개요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흔히 데이터 용량에 대한 표현을 많이 사용합니다. 노트북을 구매하려고 사양을 살펴보면 하드디스크 용량, SDD(Solid State Disk) 용량, RAM(Random Access Memory) 용량에 몇 GB(기가바이트)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근데 이게 어느 정도인지 숙달된 사람이 아니면 머릿속에서 잘 상상되질 않습니다. 그리고 데이터통신이나 Wi-Fi를 사용할 때에 업로드 몇 MB(메가바이트), 다운로드 몇 MB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이게 저장장치의 용량과 같은 것인지 아니면 다른 것인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여기서는 일상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 데이터 용량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 용량을 흔히 말하는 데이터 파일의 크기를 표현하는 .. 2023. 5. 8.
인터넷 주소에 대해 알아보기 개요 인터넷(Internet)은 전 세계 범위의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로 오늘날 대부분은 컴퓨터 장치들이 연결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통신망을 의미합니다. 한글로 표현이 어려운데 인터넷은 대문자로 시작하는 Internet과 소문자로 시작하는 internet이 있는데 여기서 소문자로 시작하는 internet이란 네트워크들이 서로 연결되어 큰 네트워크를 구성한 통신망을 의미하고 그중 하나가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이고 이를 대문자 Internet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인터넷은 바로 대문자로 시작하는 Internet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장치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무엇보다 인터넷 주소(Internet Address)가 필요합니다. 여기서는 인터넷 주소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2023. 5. 7.
컴퓨팅 환경의 종류 개요 컴퓨터는 인간을 대신하여 복잡한 계산, 데이터 저장 및 관리를 비롯한 다양한 일을 해줍니다. 그러나 이러한 컴퓨터는 일상적으로 보이는 것과 달리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성되어 활용됩니다. 대표적인 컴퓨팅 환경(Computing Environment)의 종류로는 개인용 컴퓨팅 환경(Personal Computing Environment), 시분할 환경(Time Sharing Environment), 클라이언트/서버 환경(Client/Server Environment) 그리고 분산 컴퓨팅 환경(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으로 구분됩니다. 여기에서는 일상에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운용의 모습이 어떠한지에 대해서 이해하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용 컴퓨팅 환경 개인용 컴퓨.. 2023. 5. 6.
HTTP 개요 우리는 크롬, 사파리 같은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네이버, 구글, 다음을 비롯하여 많은 인터넷 사이트를 돌아다닙니다. 단순히 자료를 검색하기도 하고, 인터넷뱅킹도 하며, 뉴스도 보고, 글도 올리고 때로는 파일도 내려받기도 합니다. 이렇게 우리는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웹서핑의 편리함을 마음껏 누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웹브라우저를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필요한 것이 바로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입니다. 여기서는 HTTP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HTTP란 무엇인가 HTTP는 웹 서버와 사용자의 인터넷 브라우저 사이에서 웹 자료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규약입니다. 여기서 하이퍼텍스트(Hyper Text)란 웹 자료를 주고 받는 텍스트, 이미지 등에 이 정.. 2023. 5. 5.
반응형